장애인구강진료센터 확충 ‘목소리 커’
장애인구강진료센터 확충 ‘목소리 커’
  • 이가영 기자
  • 승인 2020.04.17 14:10
  • 호수 7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 치과진료 확대 통해 치과계 공공성 확대 도모”

지난 4.15 총선에서 정의당은 국민들의 차별 없는 구강건강 보장을 위해 권역별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치과주치의제도를 도입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민중당은 경제적인 어려움이 많은 장애인을 위해 공공치과의료기관 설치 및 운영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이 발표한 한눈에 보는 2018 장애인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장애인 수는 약 250만 명으로, 전 인구의 약 5%를 차지한다.

장애인은 칫솔질, 치실질 등 일상생활 속에서의 자가 구강관리가 어려워 비장애인보다 구강건강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동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의 경우, 진료 전문인력 및 전신마취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치과에서는 진료가 불가능하다.

이에 정부는 장애인 구강진료 접근성 향상 및 구강진료 불평등 완화를 위해 2011년부터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설치해 왔으며, 전국에 총 10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을 비롯해, 치과계단체 및 의원 등에서 장애인을 전문으로 치과진료가 이뤄지고 있지만, 일반 치과 진료와 비교했을 때, 장애인에 대한 치과 진료 서비스는 현저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김경일 구강보건정책연구회장은 지난 1, 민중당과의 장애인 및 아동청소년 치과의료 제도 협약에서 실제 중증 장애인 치료 시 장비, 시설, 인력, 비용 등에서 한계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 치과의료기관이 충분히 설치돼 이들에게 치과의료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해야 할 것이라며 관련해서 인력 확충과 교육 그리고 예산 확보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치과의료정책연구원(원장 민경호, 이하 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치과계 공공성 확대를 위한 장애인 치과진료 시스템 연구에 따르면 장애인 구강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은 일반 치과병·의원 진료, 치과진료비에 대한 지원, 치과진료 공급의 확대 및 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 대한 접근성 개선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급자들은 장애인 구강건강에 있어 구강건강의 중요성,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 장애인 대상 치과진료 서비스 부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치과적 중·경증 장애에 따른 의료기관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정책연구원은 국내 장애인진료센터를 중심으로 진료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책적으로 더 확대될 예정이기는 하나 전체 장애인인구에 비하면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일반치과의원에서의 장애인치과진료의 확대가 요구되며, 장애인치과주치의 제도를 추진 중인 선진국 사례 벤치마킹 등 다양한 분석과 노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제도를 수립·정착하고, 장애인의 치과진료 확대를 통해 치과계 공공성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